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바로가기

더작

close open
QUICK MENU

최근본상품 0

    prev
    /
    next

    장바구니 0

      prev
      /
      next

      위시리스트 0

        prev
        /
        next

        • 고객센터

        • 1855-3412
        • 전화주문 가능
        • 월~금 09:30 ~ 18:00
        • 점심 12:20 ~ 13:30
        • 토/일/공휴일 휴무
        • 무통장 입금계좌

        • 우리은행
          1005-003-229147
        • 예금주 : (주)트래디스바이오

        매거진

        엽산은 임산부만 먹어야 할까?
        작성자 관*자 등록일 2023-09-05 13:50:08 조회수 82

        엽산은 임산부만 먹어야 할까?



        엽산은 가임기 여성부터 수유중인 산모에게 필수인 영양소로, 

        태아가 커가는 세포분열 때 많은양이 필요하며, 특히 척추, 뇌, 두개골이 정상적으로 성장하는데 필수인 영양소입니다.


        엽산이 부족할 경우 조산, 성장지연, 체중미달부터 태아의 선천적 장애인 무뇌증, 척추갈림증 같은 

        신경관 결손증을 야기하기 때문에, 임산부라면 꼭 보충해줘야 하는 영양소입니다.


        그러나 엽산은 임산부만 먹어야하는 영양소가 아닙니다.

        엽산은 식약처로부터 

        1. 세포와 혈액 생성에 필요

        2. 태아 신경관의 정상 발달에 필요

        3.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 

        3가지 기능성을 인정받은 비타민B군의 영양성분으로, 임상연구를 통해 

        우울증, 심혈관계질환, 항암, 빈혈, 인지기능/치매, 당뇨 등 질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이번 더작 매거진에서는 임산부가 외 일반인이 엽산을 먹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집중 조명해보겠습니다.






        <우울증>


        실제 한 연구에서 엽산이 정상 수준보다 절반일 경우 56%가 정서적 기분 장애를 보였으며, 

        우울증으로 정신과에 입원한 환자 중 20%가 엽산수치가 낮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출처: Institute of Medicine (US) Standing Committee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its Panel on Folate, 

        Other B Vitamins, and Chol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B6, Folat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Biotin, and Cholin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998. 8)


         

        (출처: Venkatasubramanian, R., Kumar, C. N., & Pandey, R. S. (2013).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ison of fluoxetine augmentation 

        by high and low dosage folic acid in patients with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0(2), 644-648.)



        우울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약과 엽산을 6주간 복용 시켰을 때 해밀턴 우울증 평가 척도 점수가 40% 낮아진 것을 확인했습니다.





        <심혈관계 질환 및 뇌졸중>



        엽산은 단백질 대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인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영양소로, 

        호모시스테인을 관리하지 못하면 혈관건강을 망치는 지름길입니다.


         

        (출처:Folic Acid Supplementation in Patients with Elevated Homocysteine Levels Adv Ther. 2020; 37(10): 4149–4164.

        Published online 2020 Aug 26. doi: 10.1007/s12325-020-01474-z)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3~4μmol/L 낮추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30~40% 감소하는데, 

        연구에 따르면 엽산 0.5~5mg 섭취시 호모시스테인을 25% 감소시켜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출처:J Am Coll Cardiol . 2018 May 15;71(19):2136-2146. doi: 10.1016/j.jacc.2018.02.072. Platelet Count Affects Efficacy of Folic Acid in Preventing First Stroke)



        10,789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엽산 수준이 낮아 호모시스테인 수치가 높은 참가자에게 엽산을 보충시켰을 때 뇌졸중 위험을 73%감소시켰습니다.





        <항암>

         



        (출처: Institute of Medicine (US) Standing Committee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and its Panel on Folate, 

        Other B Vitamins, and Chol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hiamin, Riboflavin, Niacin, Vitamin B6, Folat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Biotin, and Cholin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1998. 8)



        엽산을 보충한 만성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결장 *신생물(궤양)비율이 62% 낮았으며 엽산 섭취가 높은 사람의 용종 발생 위험율이 35% 더 낮았습니다.


        *신생물: 신체에 생기는 모든 혹을 의학적으로 종양 또는 신생물이라 부르며, 악성 신생물이 암.




        <빈혈>


        엽산이 부족하면 DNA와 RNA 합성 장애를 유발하여 적혈구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출처: Rev Esp Salud Publica. 2013 May-Jun;87(3):293-302. Spanish. doi: 10.4321/S1135-57272013000300009. PMID: 23892681.)

         


        멕시코 연구에서 308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엽산이 강하된 식단을 6개월간 복용시킨 결과 *헤모글로빈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헤모글로빈: 혈액을 구성하는 붉은색 단백질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함.







        <인지기능장애/치매>



        (출처: Rotstein A, Kodesh A, Goldberg Y, et al, Serum folate deficiency and the risks of dementia and all-cause mortality: 

        a national study of old age, BMJ Ment Health 2022;25:63-68.)



        2022년 한 연구에서 60~75세 참가자 27,188명을 대상으로 혈중 엽산 수치와 치매 진단기록 및 사망여부를 확인한 결과, 

        엽산 수치가 낮을 경우 치매 위험이 68% 증가하고,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2.98배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당뇨>

         

        (출처: Gargari BP, Aghamohammadi V, Aliasgharzadeh A. Effect of folic acid supplementation on biochemical indices in overweight and 

        obese me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Res Clin Pract. 2011 Oct;94(1):33-8. doi: 10.1016/j.diabres.2011.07.003. Epub 2011 Jul 28. PMID: 21802161.)



        제2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엽산 혹은 위약을 8주간 투여했을 때 엽산 보충그룹에서 당화혈색소 8%감소

        공복혈당 7.5%감소, 혈청 인슐린 16.2%, 인슐린 20.5%, 혈장 호모시스테인 21.2% 감소시켜 혈당 조절을 개선하는 것을 나타났습니다.




        지금까지 엽산과 우울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끝으로 엽산이 몸에서 작용하려면 MTHER효소를 만나 활성엽산(5-MTHF)가 되야 하는데, 

        한국인 5명중 1명은 MTHER효소가 없고, MTHER효소가 있어 전부 전환되는게 아니기, 

        엽산을 영양제로 보충하실 땐 MTHER효소가 포함되어 생체이용률이 일반 엽산보다 약 7.6배 높은 활성형엽산 (Quatrefolic)이 좋습니다.











        다음글 치매를 막는 엽산 관*자 2023-09-07 10:09
        이전글 단백질 동물성 VS 식물성 관*자 2023-08-25 18:20

        비밀번호 확인

        댓글 등록시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게시글 등록시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우울증으로 무기력한 당신에게 주고 싶은 "이것"
        2023.09.07 | 조회 30
        “이것” 결핍은 뇌졸중을 일으킨다.
        2023.09.07 | 조회 29
        치매를 막는 엽산
        2023.09.07 | 조회 29
        엽산은 임산부만 먹어야 할까?
        2023.09.05 | 조회 83
        단백질 동물성 VS 식물성
        2023.08.25 | 조회 61
        아르기닌은 운동하는 사람만 먹어야할까?
        2023.08.25 | 조회 61
        눈 노화를 방지하는 "이것"
        2023.08.24 | 조회 31
        이너뷰티 피부 영양제 파헤치기
        2023.08.23 | 조회 65
        한국인의 90%가 부족한 "이것"을 보충하면 생기는 일
        2023.08.23 | 조회 35

        비밀번호 확인

        게시글 등록시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비밀번호 확인

        댓글/답글 등록시에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회원님의 소중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신규 비밀번호 확인
        6~20자, 영문 대소문자 또는 숫자 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